레이블이 javascrip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javascript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0년 5월 3일 일요일

Cesium에서 canvas 화면 center 지점의 좌표 취득

지도상 현재 위치의 center 지점에 대해서 카메라 이동


var center = Cesium.Matrix4.multiplyByPoint(model.modelMatrix, model.boundingSphere.center, new Cesium.Cartesian3());
var heading = Cesium.Math.toRadians(230.0);
var pitch = Cesium.Math.toRadians(-20.0);
camera.lookAt(center, new Cesium.HeadingPitchRange(heading, pitch, r * 2.0));
camera.lookAtTransform(Cesium.Matrix4.IDENTITY);

2020년 3월 16일 월요일

모달 띄우는 코드

모달 띄우기

html 코드로 모달 띄우기

<!--모달 띄우기 버튼-->
<a href="javascript:void(0)" class="btn btn-download" data-toggle="modal" data-target="#downloadModal">GML Download</a>
<!--모달 창 디자인-->
<div class="modal inmodal fade" id="downloadModal" tabindex="-1" role="dialog"  aria-hidden="true">
    <div class="modal-dialog modal-download">
        <div class="modal-content">
            <div class="modal-header">
                <button type="button" class="close" data-dismiss="modal">
					<span aria-hidden="true">×</span>
					<span class="sr-only">Close</span>
				</button>
                <h5 class="modal-title">
                    Download
                </h5>
            </div>
            <div class="modal-body">
                <form class="d-inline" action="<c:url value="/"/>downloadGML.do" method="POST">
                    <input type="hidden" name="taodSeq" value="" />
                    <input type="hidden" name="gmlType" value="" />
                    <button type="button" class="btn fov-down">Geo Cultural Contents</button>
                    <button type="button" class="btn boun-down">Geo Referenced Contents</button>
                </form>
            </div>
            <div class="modal-footer">
                <button type="button" class="btn btn-white" data-dismiss="modal">Close</button>
            </div>
        </div>
    </div>
</div>

자바스크립트로 모달 띄우기

<!--모달 띄우기 버튼-->
<a href="javascript:void(0)" class="btn btn-download">GML Download</a>
/**
 * 모달 띄우기 스크립트
 */
$('.download-gml').click(function() {
    event.preventDefault(); //태그의 기본 동작 차단

    //{backdrop: 'static'}는 여백 클릭시 닫히지 않도록 하는 옵션
    $('#downloadModal').modal({backdrop: 'static'}).on('shown.bs.modal', function (e){
        console.info('download modal');
    });
});
<!--모달 창 디자인-->
<div class="modal inmodal fade" id="downloadModal" tabindex="-1" role="dialog"  aria-hidden="true">
    <div class="modal-dialog modal-download">
        <div class="modal-content">
            <div class="modal-header">
                <button type="button" class="close" data-dismiss="modal">
					<span aria-hidden="true">×</span>
					<span class="sr-only">Close</span>
				</button>
                <h5 class="modal-title">
                    Download
                </h5>
            </div>
            <div class="modal-body">
                <form class="d-inline" action="<c:url value="/"/>downloadGML.do" method="POST">
                    <input type="hidden" name="taodSeq" value="" />
                    <input type="hidden" name="gmlType" value="" />
                    <button type="button" class="btn fov-down">Geo Cultural Contents</button>
                    <button type="button" class="btn boun-down">Geo Referenced Contents</button>
                </form>
            </div>
            <div class="modal-footer">
                <button type="button" class="btn btn-white" data-dismiss="modal">Close</button>
            </div>
        </div>
    </div>
</div>

2019년 9월 26일 목요일

javascrip로 새창 열기

<script>
<!--
//javascript로 새창 열기
function openNew() {
    var openNewWindow = window.open("about:blank");
    openNewWindow.location.href = "http://aaa.net";
}
//-->
</script>

<a href="javascript:openNew();">다음오픈</a>

2019년 5월 2일 목요일

오른클릭, 드래그, 셀렉트 막기

오른클릭, 드래그, 셀렉트 막는 방법
<body oncontextmenu="return false" ondragstart="return false" onselectstart="return false">

이미지에서 저장하는 박스 안뜨게 하는 방법(2가지) 메타 태그를 이용하는 방법
<meta http-equiv="imagetoolbar" content="no">

속성을 이용하는 방법
<img src="map.gif" galleryimg="no">

javascript를 이용하는 방법
window.onload = function() {
 document.onselectstart = new Function("return false");
 document.oncontextmenu = new Function("return false");
 document.ondragstart = new Function("return false");
}

Cesium에서 현재 카메라 위치 좌표와 고도 가져오기

Cesium에서 canvas 화면 center 지점의 좌표 취득


//canvas 화면 center 지점의 좌표 취득
var cartographic = null;
var cartesian = null;

//장면 모드에 따라 처리방식이 다름
if (viewer.scene.mode == 3) { //3D
 var windowPosition = new Cesium.Cartesian2(viewer.container.clientWidth / 2, viewer.container.clientHeight / 2);
 var pickRay = viewer.scene.camera.getPickRay(windowPosition);
 cartesian = viewer.scene.globe.pick(pickRay, viewer.scene);
 cartographic = viewer.scene.globe.ellipsoid.cartesianToCartographic(cartesian);
} else if (viewer.scene.mode == 2) { //2D
 cartographic = viewer.camera.positionCartographic;
}

//현재의 카메라 위치정보를 세슘에서 가져오기
var cartographic = viewer.scene.globe.ellipsoid.cartesianToCartographic(camera.position); //현재 카메라 위치를 가져옴 : 라디안
var cartographic = viewer.camera.positionCartographic; //현재 카메라 위치를 가져옴 : 라디안

Cesium에서 좌표계(데카르트, 라디안, 경위도) 변환하기

좌표(데카르트, 라디안, 경위도) 변환하기

  • cartesian : 데카르트 = 직교좌표
  • cartographic : radian
  • longitude, latitude : degree = 경위도

//타원체 또는 지도를 선택한 경우 해당 지점을 반환. 높이정보 없는 직교좌표 취득
//return 데카르트 : cartesian = 직교좌표
var cartesian = viewer.camera.pickEllipsoid(mousePosition, undefined, undefined);
var cartesian = viewer.scene.pickPosition(movement.position);
var cartesian = viewer.scene.pickPosition(movement.endPosition);
var cartesian = viewer.scene.pick(movement.endPosition); //Cartesian2 인스턴스인 click.position으로부터 해당 위치의 프리미티브가 포함된 객체를 반환
var cartesian = viewer.scene.camera.pickEllipsoid(movement.endPosition); //타원체 또는지도를 선택한 경우 해당 지점을 반환. 높이정보 없는 좌표정보 취득
//카메라 위치에서 마우스 위치를 바라볼때 지면에 드리워지는 위치를 알아내는 기능
//3d가 올려져 있더라도 마치 3d가 없는 듯 지면의 위치를 잡아냄
var ray = viewer.camera.getPickRay(movement.endPosition); //windowPosition 픽셀의 x,y 좌표를 통해 카메라 위치에서 Cartesian3광선의 위치와 방향을 반환
var cartesian = viewer.scene.globe.pick(ray, viewer.scene); //광선과 지구 표면 사이의 교차점을 찾음
var cartesian = Cesium.Ellipsoid.WGS84.cartographicToCartesian(cartographic);
var cartesian = new Cesium.Cartesian3(1216347.3898980194, -4736345.958636395, 4081281.9421334346); //데카르트 값으로부터 생성
var cartesian = Cesium.Cartesian3.fromElements(1216347.3898980194, -4736345.958636395, 4081281.9421334346); //데카르트 값으로부터 생성
var cartesian = Cesium.Cartesian3.fromRadians(cartographic.longitude, cartographic.latitude, heightOffset);
var cartesian = Cesium.Cartesian3.fromDegrees(127.0722820928, 37.5137639686, 1000000.0);
var cartesian = Cesium.Cartesian3.fromArray([127.0722820928, 37.5137639686, 1000000]);
var cartesian = Cesium.Cartesian3.fromArray([0.0, 0.0, 1.0, 2.0, 3.0], 2); //(1.0, 2.0, 3.0)의 Cartesian3
var cartesian = Cesium.Cartographic.toCartesian(cartographic, ellipsoid, result);

var cartesian3Array = Cesium.Ellipsoid.WGS84.cartographicArrayToCartesianArray(cartographicArray);
var cartesian3Array = Cesium.Cartesian3.fromDegreesArray([lon1, lat1, lon2, lat2]);
var cartesian3Array = Cesium.Cartesian3.fromDegreesArrayHeights([lon1, lat1, hei1, lon2, lat2, hei2...]);
var cartesian3Array = Cesium.Cartesian3.fromRadiansArray([-2.007, 0.645, -1.867, .575]);
var cartesian3Array = Cesium.Cartesian3.fromRadiansArrayHeights([-2.007, 0.645, 100000.0, -1.867, .575, 150000.0]);


//데카르트(cartesian) --> 라디안,높이(미터)
//return radian : cartographic
var cartographic = Cesium.Ellipsoid.WGS84.cartesianToCartographic(cartesian); //데카르트를 라디안으로 변경
var cartographic = viewer.scene.globe.ellipsoid.cartesianToCartographic(cartesian); //데카르트를 라디안으로 변경
var cartographic = viewer.viewer.camera.positionCartographic; //현재 카메라가 위치한 공간상의 위치(좌표와 고도)를 가져옴
var cartographic = new Cesium.Cartographic(-2.007, 0.645);
var cartographic = new Cesium.Cartographic(-2.007, 0.645, 100000.0);
var cartographic = Cesium.Cartographic.fromDegrees(86.925145, 27.988257);
var cartographic = Cesium.Cartographic.fromCartesian(boundingSphere.center);
var cartographic = Cesium.Cartographic.fromCartesian(cartesian, ellipsoid, result);
var cartographic = Cesium.Cartographic.fromCartesian(cartesian, Cesium.Ellipsoid.WGS84);
var cartographic = Cesium.Math.toRadians(175.0);


//라디안,높이(미터) --> 경위도 좌표
//return degree : 경위도
var longitude = Number(Cesium.Math.toDegrees(cartographic.longitude).toFixed(10)); //라디안을 도(경위도) 단위로 변경
var latitude = Number(Cesium.Math.toDegrees(cartographic.latitude).toFixed(10)); //라디안을 도(경위도) 단위로 변경
var height = Number(cartographic.height.toFixed(3)); //라디안을 도(경위도) 단위로 변경
//아래는 위와 동일값
var longitude = cartographic.longitude * (180 / Math.PI); //라디안을 도(경위도) 단위로 변경
var latitude = cartographic.latitude * (180 / Math.PI); //라디안을 도(경위도) 단위로 변경

//Cartesian3 배열
hierarchy : new Cesium.PolygonHierarchy(outlines); //outlines = Array.
const positions = Cesium.Cartesian3.fromDegreesArray([-115.0, 37.0, -107.0, 33.0]);
const positions = Cesium.Cartesian3.fromDegreesArrayHeights([-115.0, 37.0, 100000.0, -107.0, 33.0, 150000.0]);

//Cartesian3를 복제
const newCartesian = Cesium.Cartesian3.clone(cartesian);

//Cartesian3 배열을 복제
const degreeArray = Cesium.Cartesian3.packArray(cartesianArray);
const newCartesianArray = Cesium.Cartesian3.unpackArray(degreeArray);

Cesium.Cartesian3.pack(Cartesian3, [], 0) == [-3216766.7474918603,4139506.301141361,3620660.378889914];
Cesium.Cartesian3.packArray(Array.〈Cartesian3〉) == [-3216766.7474918603,4139506.301141361,3620660.378889914, -3216783.4893309157,4139488.4788987567,3620665.843922182];

2019년 2월 27일 수요일

Cesium에서 카메라의 공간상 위치 알아내기

3D 지도위의 카메라 좌표와 높이 알아내기
//현재의 카메라 위치를 세슘에서 가져오기
var cartographic = viewer.camera.positionCartographic; //현재 카메라 위치를 가져옴 : 라디안
var saveCameraX = Cesium.Math.toDegrees(cartographic.longitude).toFixed(10); //라디안을 도(경위도) 단위로 변경
var saveCameraY = Cesium.Math.toDegrees(cartographic.latitude).toFixed(10); //라디안을 도(경위도) 단위로 변경
var saveCameraZ = cartographic.height.toFixed(3);
console.log('cartographic.longitude:',cartographic.longitude);
console.log('cartographic.latitude:',cartographic.latitude);
console.log('cartographic.height:',cartographic.height);
console.log('longitude:',saveCameraX);
console.log('latitude:',saveCameraY);
console.log('height:',saveCameraZ);

Cesium 지도에서 화면 가운데 좌표 알아내기 (높이는 측정되지 않았음)
//화면 가운데 좌표 알아내기
var cartographic = new Cesium.Rectangle(0, 0, 0, 0);
viewer.camera.computeViewRectangle(Cesium.Ellipsoid.WGS84, cartographic);
var west = Number(Cesium.Math.toDegrees(cartographic.west));
var south = Number(Cesium.Math.toDegrees(cartographic.south));
var east = Number(Cesium.Math.toDegrees(cartographic.east));
var north = Number(Cesium.Math.toDegrees(cartographic.north));
console.log('west:',Cesium.Math.toDegrees(cartographic.west));
console.log('south:',Cesium.Math.toDegrees(cartographic.south));
console.log('east:',Cesium.Math.toDegrees(cartographic.east));
console.log('north:',Cesium.Math.toDegrees(cartographic.north));
console.log('west-east 중점:',((east-west)/2+west));
console.log('south-north 중점:',((north-south)/2+south));
console.log('고도:',cartographic.height);

2019년 1월 9일 수요일

javascript : 용량을 MB, KB, byte 단위별 환산하는 함수

/**
 * byte 용량을 환산하여 반환
 * 용량의 크기에 따라 MB, KB, byte 단위로 환산함
 * @param fileSize  byte 값
 * @param fixed     환산된 용량의 소수점 자릿수
 * @returns {String}
 */
function byte(fileSize, fixed) {
    var str

    //MB 단위 이상일때 MB 단위로 환산
    if (fileSize >= 1024 * 1024) {
        fileSize = fileSize / (1024 * 1024);
        fileSize = (fixed === undefined) ? fileSize : fileSize.toFixed(fixed);
        str = commaNum(fileSize) + ' MB';
    }
    //KB 단위 이상일때 KB 단위로 환산
    else if (fileSize >= 1024) {
        fileSize = fileSize / 1024;
        fileSize = (fixed === undefined) ? fileSize : fileSize.toFixed(fixed);
        str = commaNum(fileSize) + ' KB';
    }
    //KB 단위보다 작을때 byte 단위로 환산
    else {
        fileSize = (fixed === undefined) ? fileSize : fileSize.toFixed(fixed);
        str = commaNum(fileSize) + ' byte';
    }
    return str;
}

2018년 12월 27일 목요일

javascript, jQuery에서 루프(loop) 돌리기 예 (for, forEach, each)

javascript for문 사용 예

//예문1) 미지원 브라우저 없음
for (var i=0; i<array.length; i++) {
    console.log(array[i]);
}

//예문2.1) ie8 이하 미지원
for (var i in array) {
    console.log(array[i]);
}

//예문2.2) object형 변수의 루프 돌리기
var viewModel = {
    entity : undefined,
    longitude: 127.33887522,
    latitude: 36.34803794,
    height: 0,
    heading: 0,
    pitch: 0,
    roll: 0
};
for (var name in viewModel) {
    console.log(name + ": " + viewModel[name]);
}

//예문3.1) ie9, ff1.5 미만 미지원
array.forEach(function(currentValue, index, arr), thisValue);

//예문3.2) ie9, ff1.5 미만 미지원
var numbers = [65, 44, 12, 4];
function myFunction(item, index, arr) {}
numbers.forEach(myFunction);

jQuery 루프문 사용 예

//예문1)
$("li").each(function(index) {
    console.log(index + ": " + $(this).text());
});

//예문2)
$("div").each(function(index, element) {
    //$(element) == $(this)
    $(element).css("color", "yellow");
    if ($(this).is("#stop")) {
        $("span").text("index : " + index);

        //continue : return true;
        //break : return false;
        return false;
    }
});

//예문3)
var result = {
    navigationList : {
        "0": {
            "coordinatex" : "126",
            "coordinatey" : "36",
        },
        "1": {
            "coordinatex" : "126",
            "coordinatey" : "36",
        }
    }
};
$.each(result.navigationList, function(idx, data) {
    console.log('for:',data.coordinatex, data.coordinatey);
});

//예문4)
var obj = {
    "a": "1",
    "b": "2"
};
$.each(obj, function(key, value) {
    alert(key + ": " + value);
});

//예문5)
$.each([52, 97], function(index, value) {
    alert(index + ": " + value);
});

2018년 5월 21일 월요일

Cesium에서 Mouse Move 이벤트 처리시 명시적 렌더링하기

명시적 렌더링을 위해 requestRender()를 호출한다.
명시적으로 호출하지 않아도 자동 렌더링 되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있다. 아래처럼 속성이 변경되는 경우는 자동 렌더링 되지 않는다.
이벤트가 트리거 될때마다 requestRender()를 호출 할 수 있지만 아래의 코드에서는 entity의 속성이 변경되지 않는 한 직접 호출할 필요가 없다.
//scene을 업데이트하지 않으면 새 프레임을 렌더링하지 않는 뷰어를 만듦
var viewer = new Cesium.Viewer('cesiumContainer', {
    requestRenderMode : true,
    maximumRenderTimeChange : Infinity
});

//entity를 scene에 추가
var entity = viewer.entities.add({
    position : Cesium.Cartesian3.fromDegrees(-75.59777, 40.03883),
    box : {
        dimensions : new Cesium.Cartesian3(1000000.0, 1000000.0, 30000.0),
        material : Cesium.Color.CORNFLOWERBLUE
    }
});

//마우스가 billboard 위에 있으면 크기와 색상을 변경하고, 그런 다음 새로운 렌더 프레임을 요청함
var lastPicked;
handler = new Cesium.ScreenSpaceEventHandler(scene.canvas);

//마우스 이동 이벤트를 걸어줌
handler.setInputAction(function(movement) {
    //마우스 위치의 entity를 알아냄
    //지형이 없는 경우
    var pickedObject = scene.pick(movement.endPosition);

//알아낸 object가 정의된 것이고 추가한 box가 맞는지 확인
    if (Cesium.defined(pickedObject) && (pickedObject.id === entity)) {
        //직전에 속성을 변경한 box이면 처리를 중단
if (Cesium.defined(lastPicked)) {
            return;
        }
        entity.box.material = Cesium.Color.YELLOW;
        scene.requestRender(); //속성 변경후 수동으로 렌더링 함
        lastPicked = pickedObject;
}
    //이미 속성이 변경되었다면 원래대로 속성 변경
    else if (Cesium.defined(lastPicked)) {
        entity.box.material = Cesium.Color.CORNFLOWERBLUE;
        scene.requestRender();
        lastPicked = undefined;
    }
}, Cesium.ScreenSpaceEventType.MOUSE_MOVE);

2018년 2월 20일 화요일

자바스크립트에서 이벤트 전파 중단 하는 방법

자바스크립트에서 이벤트 수행 막기


event.preventDefault()

현재 요소에 직접 걸어준 이벤트는 처리하지만 태그의 기본 동작은 작동하지 않도록 막는다.


event.stopPropagation()

기본적으로 하위 요소에서 발생한 이벤트는 상위 요소에서도 캐치가 가능한데 이 함수는 현재 요소에서 발생한 이벤트가 상위 요소에서는 발생하지 않도록 막아준다.


event.stopImmediatePropagation()

현재 요소에 발생한 이벤트가 상위 요소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막아주고, 현재 요소의 이벤트가 여럿일 경우 첫 번째 정의한 이벤트만 작동하도록 한다.


return false

jQuery에서 : event.preventDefault()와 event.stopPropagation() 동시 수행한다.
javascript에서 : event.preventDefault()와 같다.
ex) <a href="javascript:return false;">링크예시<a>



예제 소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title>test</title>
<style>
nav {background-color: gray; padding: 40px;}
div {background-color: yellow; padding: 40px;}
a {background-color: green; padding: 20px; display: inline-block;}
</style>
<script src="http://code.jquery.com/jquery-1.11.3.min.js"></script>
<script>
$(function(){
    $("div").on("click",function() {
        console.log("div 태그의 클릭 이벤트");
    });
    $("a").on("click",function(event) {
        console.log("a 태그의 클릭 이벤트1");
        event.preventDefault();
    });
    $("a").on("click",function(event) {
        console.log("a 태그의 클릭 이벤트2");
        event.preventDefault();
    });
});
</script>
</head>
<body>
<nav>
    <div>
        <a href="http://www.daum.net" target="_blank">링크</a>
        <a href="javascript:console.log('a 태그의 인라인 자바스크립트 호출');">alert</a>
    </div>
</nav>
</body>
</html>


event.preventDefault()

$(function(){
    $("div").on("click",function() {
        console.log("div 태그의 클릭 이벤트");
    });
    $("a").on("click",function(event) {
        console.log("a 태그의 클릭 이벤트1");
        event.preventDefault();
    });
    $("a").on("click",function(event) {
        console.log("a 태그의 클릭 이벤트2");
        event.preventDefault();
    });
});

스크립트 부분을 위 처럼 작성 후


1. <a> 클릭시
  - a 태그의 링크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 a 태그의 인라인 자바스크립트가 작동하지 않는다.
  - a 태그에 걸어둔 2개의 이벤트가 모두 작동한다.
  - 부모 요소인 div 태그에 걸어둔 이벤트도 함께 작동한다.

2. <div> 클릭시
  - div 태그에 걸어둔 이벤트만 작동한다.

3. <nav> 클릭시
  - 아무런 작동이 없다.


event.stopPropagation()

$(function(){
    $("div").on("click",function() {
        console.log("div 태그의 클릭 이벤트");
    });
    $("a").on("click",function(event) {
        console.log("a 태그의 클릭 이벤트1");
        event.stopPropagation();
    });
    $("a").on("click",function(event) {
        console.log("a 태그의 클릭 이벤트2");
        event.stopPropagation();
    });
});

위 처럼 스크립트 사용시 자식 요소에서 클릭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부모 요소에 걸어둔 이벤트는 작동하지 않았다.

스크립트 부분을 위 처럼 작성 후


1. <a> 클릭시
  - a 태그의 링크 기능이 정상 작동한다
  - a 태그의 인라인 자바스크립트가 정상 작동한다.
  - a 태그에 걸어둔 2개의 이벤트가 모두 작동하였다.
  - 부모 요소인 div 태그에 걸어둔 이벤트는 작동하지 않는다.

2. <div> 클릭시
  - div 태그에 걸어둔 이벤트만 작동한다.

3. <nav> 클릭시
  - 아무런 작동이 없다.


event.stopImmediatePropagation()

$(function(){
    $("div").on("click",function() {
        console.log("div 태그의 클릭 이벤트");
    });
    $("a").on("click",function(event) {
        console.log("a 태그의 클릭 이벤트1");
        event.stopImmediatePropagation();
    });
    $("a").on("click",function(event) {
        console.log("a 태그의 클릭 이벤트2");
        event.stopImmediatePropagation();
    });
});

위 처럼 스크립트 사용시 여러개의 이벤트 중 첫번째 선언한 이벤트 하나만 처리되었고 인라인 자바스크립트는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크립트 부분을 위 처럼 작성 후


1. <a> 클릭시
  - a 태그의 링크 기능이 정상 작동한다
  - a 태그의 인라인 자바스크립트가 정상 작동한다.
  - a 태그에 걸어둔 이벤트 중 먼저 선언한 이벤트 하나만 작동한다.
  - 부모 요소인 div 태그에 걸어둔 이벤트는 작동하지 않는다.

2. <div> 클릭시
  - div 태그에 걸어둔 이벤트만 작동한다.

3. <nav> 클릭시
  - 아무런 작동이 없다.


return false

$(function(){
    $("div").on("click",function() {
        console.log("div 태그의 클릭 이벤트");
    });
    $("a").on("click",function(event) {
        console.log("a 태그의 클릭 이벤트1");
        return false;
    });
    $("a").on("click",function(event) {
        console.log("a 태그의 클릭 이벤트2");
        return false;
    });
});

위와 같이 return false를 사용하면 event.stopPropagation()과 event.preventDefault()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과 같은 작동을 하였다. 태그 원래의 기능과 인라인 자바스크립트의 수행을 막고자 한다면 위처럼 사용해도 될 것 같다.

스크립트 부분을 위 처럼 작성 후


1. <a> 클릭시
  - a 태그의 링크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다
  - a 태그의 인라인 자바스크립트가 작동하지 않는다.
  - a 태그에 걸어둔 2개의 이벤트가 모두 작동하였다.
  - 부모 요소인 div 태그에 걸어둔 이벤트는 작동하지 않는다.

2. <div> 클릭시
  - div 태그에 걸어둔 이벤트만 작동한다.

3. <nav> 클릭시
  - 아무런 작동이 없다.

2018년 2월 5일 월요일

최초 접속시 css와 script가 로딩되지 않을때

환경

서버 : 톰캣 단독

문제

스프링을 사용중인 웹 사이트에서 최초 접속시 CSS가 로딩되지 않는 현상이 있었다. 새로고침하면 이후부터는 제대로 나오긴 하지만 브라우저를 닫고 다시 웹 사이트에 접속하면 여전히 처음에는 CSS가 로딩되지 않았다. 그런데 index.html에서 페이지 리다이렉트로 문제의 페이지에 접근한 경우에는 제대로 나왔다. 즉 주소를 직접 입력해서 접속시 최초 1회는 페이지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브라우저의 콘솔을 열어보니 아래와 같은 로그가 꽤 많이 찍혀있었다.
“http://127.0.0.1:9080/gim/;jsessionid=02B695062249B5363476B2D5293A2AF9js/vendor/modernizr-2.8.3-respond-1.4.2.min.js” 소스의 <script> 로딩을 실패하였습니다.

메시지를 보면 script가 로딩되지 않는다고 하는데 script와 더불어 CSS가 함께 로딩되지 않아서 디자인 없이 HTML만 불러오는 상황이었다.

문제가 되는 부분을 jsp 소스에서 찾았고 그 중 일부만 보면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되어있었다.
<link rel="stylesheet" href="<c:url value='/'/>css/main.css">
<script src="<c:url value='/'/>js/vendor/modernizr-2.8.3-respond-1.4.2.min.js"></script>

해결

위의 문제는 <c:url value='/'/>의 결과 값인 /gim의 뒤에 세션아이디가 붙어 "/gim/;jsessionid=19B754062123249B5476B2D5435A2AF3" 처럼 경로가 변하면서 문제가 된 것이었다.

2가지 해결방법을 발견하였는데

첫 번째로 아래처럼 상대 경로로 고쳐서 문제를 해결하였다.

<link rel="stylesheet" href="../css/main.css">
<script src="../js/vendor/modernizr-2.8.3-respond-1.4.2.min.js"></script>
이경우 소스보기 시에도 깔끔하게 위와 동일한 소스가 보인다

두 번째로 아래처럼 <c:url>을 고쳐서 문제를 해결하였다.

<link rel="stylesheet" href="<c:url value='/css/main.css'/>">
<script src="<c:url value='/js/vendor/modernizr-2.8.3-respond-1.4.2.min.js'/>"></script>
이 경우 해당 화면에서 소스보기 하면 아래처럼 나타났다.
<link rel="stylesheet" href="/gim/css/main.css;jsessionid=19B754062123249B5476B2D5435A2AF3">
<script src="/gim/js/vendor/modernizr-2.8.3-respond-1.4.2.min.js;jsessionid=19B754062123249B5476B2D5435A2AF3"></script>

<c:url> 사용시 주의하는 것이 좋겠다.



해결을 위해 아래의 블로그가 도움이 되었다.
https://blue_0227.blog.me/130097042737


2018년 1월 25일 목요일

ajax 동기화 처리하기

동기화가 필요한 코드

아래의 코드는 ajax를 통해 로그인 여부 확인 후 로그인이 안된 경우 dwg 확장명을 가진 파일이 다운로드 안되도록 하는 코드이다. 실제 다운로드시 서버 단에서 한번 더 체크하는 부분은 별도로 있다.


수정전

아래처럼 작성한 경우 비동기 처리되어 로그인 여부 확인이 뒤늦게 이루어져서 "다운로드 권한이 없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의도한 대로 잘 작동되지 않는다.



/**
 * 로그온 여부 확인
 * @returns {Boolean}
 */
function isLogon() {
    //데이터 요청
    $.ajax({
        url : contextPath+'/main/isLogon.ajax',
        type : 'POST',
        dataType : 'json',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charset=UTF-8',
        success : function(result) {
            //console.log("result : "+JSON.stringify(result));
            //console.log("basicInfoList : "+result.basicInfoList.length);
            return result;
        },
        error : function(request,status,error) {
            console.log("code:"+request.status+"\n\n"+ "message:" + request.responseText + "\n\n"+"error:"+error);
            //alert($(request.responseText.replace(/(\r\n|\n|\r)/gm,"")).text());
            //alert("처리에 실패하였습니다.\ncode:"+request.status+"\n"+"error:"+error);
        },
        complete : function() {
        }
    });
}

$(document).ready(function() {
    /**
     * 파일 다운로드 처리
     */
    $(document).on('click', '.down', function(){
        //로그인 시에만 다운로드 처리
        var ext = ($(this).text().split("."));
        //로그인 여부와 확장자 확인하는 부분
        if (isLogon() == false && ext[ext.length-1].toLowerCase() == "dwg") {
            //로그인이 안되었고 확장자가 dwg라면
            alert("다운로드 권한이 없습니다.");
        } else {
            var fileSn = $(this).data("filesn");
            var seq = $(this).data("seq");
            window.open(contextPath+"/main/filedown.do?seq="+seq+"&fileSn="+fileSn);
        }
    });
});


그래서 $.ajax(); 의 async 속성 사용으로 뭔가 방법을 찾을수 있을까 생각 했지만 async는 deprecated 되었다고 한다. async : false로 설정시 아래의 오류가 발생하였다.

파이어폭스에서... 메인 쓰레드에서의 동기화된 XMLHttpRequest는 사용자 경험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더이상 사용하지 않습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http://xhr.spec.whatwg.org/ 를 참고해 주십시오.

크롬에서... [Deprecation] Synchronous XMLHttpRequest on the main thread is deprecated because of its detrimental effects to the end user's experience. For more help, check https://xhr.spec.whatwg.org/.


수정후

이번엔 조금 다른 병식을 찾아서 적용해 보았다. 이번엔 의도한 대로 작동이 잘 되었다.



/**
 * 로그온 여부 확인
 * @returns {Boolean}
 */
function isLogon() {
    //데이터 요청
    var pormise = $.ajax({
        url : contextPath+'/main/isLogon.ajax',
        type : 'POST',
        //data : JSON.stringify(data),
        //async : false, //deprecated
        dataType : 'json',
        contentType : 'application/json; charset=UTF-8',
        success : function(result) {
            //console.log("result : "+JSON.stringify(result));
            //console.log("basicInfoList : "+result.basicInfoList.length);
        },
        error : function(request,status,error) {
            //console.log("code:" + request.status+"\n\n" + "message:" + request.responseText + "\n\n"+"error:"+error);
            //alert($(request.responseText.replace(/(\r\n|\n|\r)/gm,"")).text());
            //alert("처리에 실패하였습니다.\ncode:"+request.status+"\n"+"error:"+error);
        },
        complete : function() {
        }
    });
 
    return pormise;
}

$(document).ready(function() {
    /**
     * 파일 다운로드 처리
     */
    $(document).on('click', '.down', function(){
        var ext = ($(this).text().split("."));
        var fileSn = $(this).data("filesn");
        var seq = $(this).data("seq");
        var pormise = isLogon();
        var sessionOn = false;

        //jqXHR.done(function( data, textStatus, jqXHR ) {});
        //jqXHR.fail(function( jqXHR, textStatus, errorThrown ) {});
        //jqXHR.always(function( data|jqXHR, textStatus, jqXHR|errorThrown ) { });
        
        pormise.done(function(result){
            sessionOn = result;
            //console.log(result);
         
            //로그인 여부와 확장자 확인하는 부분
            if (sessionOn == false && ext[ext.length-1].toLowerCase() == "dwg") {
                //로그인이 안되었고 확장자가 dwg라면
                alert("다운로드 권한이 없습니다.");
            } else {
                window.open(contextPath+"/main/filedown.do?seq=" + seq + "&fileSn=" + fileSn);
            }
        });
        //pomise.fail(function(){ ... }); //아직 테스트 못해봄
        //pomise.always(function(){ ... }); //아직 테스트 못해봄
    });
});

2018년 1월 11일 목요일

CSS로 요소에 대한 클릭 등 이벤트 발생 막기

jQuery 이벤트 발생 차단하기


pointer-events: none;

요소에 대한 이벤트 발생을 막고 싶을 때 사용하는 CSS.
이 css가 적용되면 jQuery의 click 등의 이벤트가 동작 되지 않는다.

예제

###############################################
<a class="wid-01" href="#">이벤트</a>

$('.wid-01').css('pointer-events','auto'); //이벤트 가능하도록 처리
$('.wid-01').css('pointer-events','none'); //이벤트 막음
###############################################

2017년 11월 23일 목요일

목록의 체크 선택/해제에 따라 [전체선택] 체크박스를 체크하거나 해제하기

목록의 체크 선택/해제에 따라 [전체선택] 체크박스를 체크하거나 해제하기 


동적으로 생성된 목록에서
체크박스를 모두 선택하면 --> 목록 상단의 [전체선택/해제] 체크박스를 체크하고
체크박스를 하나라도 해제하면 --> 목록 상단의 [전체선택/해제] 체크박스를 체크해제

HTML 부분

아래의 HTML 코드 중 주석 부분을 jQuery로 동적 생성시 제어가 당초 생각했던 코드대로 실행되지 않았다
그래서 동적 생성 HTML일 경우 아래처럼 처리해 보았다
<table id="table-03" class="table table-responsive table-grtc-01 no-margin has-check" summary="사진정보 이력">
    <thead>
    <tr class="text-center-group vertical-middle-group">
        <th>
            <div class="checkbox">
                <input type="checkbox" value="" aria-label="check" title="check" class="cursor-pointer">
                <label></label>
            </div>
        </th>
        <th>촬영일자</th>
        <th>촬영기관</th>
        <th>사진설명</th>
    </tr>
    </thead>
    <tbody>
    <!--
    <tr class="vertical-middle-group">
        <td class="text-center-group">
            <div class="checkbox">
                <input type="checkbox" value="option1" aria-label="check" title="check" class="cursor-pointer">
                <label></label>
            </div>
        </td>
        <td class="text-center">2016/05/16</td>
        <td class="tooltip-demo txt-ellipsis-td">
            <span data-toggle="tooltip" data-placement="top" title="김해시">김해시</span>
        </td>
        <td class="tooltip-demo txt-ellipsis-td">
            <span data-toggle="tooltip" data-placement="top" title="20160415_sample.jpg">20160415_sample.jpg</span>
        </td>
    </tr> -->
    </tbody>
</table>

jQuery 부분

//$('input[name="tpiSeqs"]').click(function(){ //동적 생성된 HTML에서는 작동 안됨
$(document).on('click', 'input[name="tpiSeqs"]', function(){ //동적 생성된 HTML에서도 작동됨
    //var totLength = $(this).length; //이건 항상 1이 나왔음
    var totLength = $('input[name="tpiSeqs"]').length; //이건 예상했던 개수가 나옴
    var chkLength = $('input[name="tpiSeqs"]:checked').length;

    if (totLength > 0 && totLength == chkLength) {
        console.log("on:");
        $('#table-03 thead input:checkbox').prop("checked",true);
    } else {
        console.log("off");
        $('#table-03 thead input:checkbox').prop("checked",false);
    }
});

2017년 11월 9일 목요일

javascript로 alt 또는 title 달때 내용에 포함된 따옴표 치환하기

alt 또는 title 달때 문자열 중 따옴표가 표함된 경우 잘려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아래처럼 문자열을 replace 해서 문자열이 잘리지 않도록 한다.

/**
 * alt 또는 title 달때 문자열 중 따옴표가 표함된 경우 잘려서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문자열을 치환
 * @param tit
 * @returns
 */
function imbedTitle(tit) {
if(tit == null || tit == 'null') {
return '';
}

var str = tit;
str = str.replace(/\"/g, '&quot;');
str = str.replace(/ /g,'&nbsp;');
str = str.replace(/</g,'&lt;');
str = str.replace(/>/g,'&gt;');
return str;
}


2017년 8월 9일 수요일

모든 링크를 읽어들여 기존의 태그 뒤에 새창열기 태그를 추가하기 예

모든 링크를 읽어들여 기존의 태그 뒤에 새창열기 태그를 추가하기 예

index.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프레임</title>
</head>
<frameset cols="250, *" frameborder="no" border="0" framespacing="0">
<frame name="left" scrolling="no" src="./left.html">
<frame name="main" scrolling="auto" src="">
</frameset>
</html>

left.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메뉴</title>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js/lib/jquery-1.11.3.min.js"></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
$(document).ready(function() {
$("body").find("a").each(function() {
if ($(this).prop("target") == "main") {
$(this).parent().append($('<a />', {
href: $(this).prop("href"),
target: '_blank',
title: '새창보기',
text: '[새창]',
style: 'padding-left: 5px; font-size: 8pt;'
}));
}
});
});
//-->
</script>
</head>
<body>
<div>
<dl>
<dt><a href="//localhost/Cesium-1.35" target="main">Cesium-1.35</a></dt>
<dt><a href="//localhost/msac" target="main">msac</a></dt>
<dt><a href="left_sub.html">left_sub</a></dt>
</dl>
</div>
</body>
</html>

2017년 6월 10일 토요일

자바스크립트로 스크롤 만들기

document.레이어id.style.overflow='auto';
document.레이어id.style.overflow='hidden';

HTML { overflow-x : sOverflow }
Scripting object.style.overflowX [ = sOverflow ]

옵션 값 : scroll, hidden, auto

숫자만 입력받는 함수

//사용법 onKeyUp="fnChkNum(this)" 
function fnChkNum(obj) { 
    var tmp = obj.value; 
    var str = tmp.substr(tmp.length-1); 
    var rtn = tmp.substr(0,tmp.length-1); 
    if (str != "1" && str != "2" && str != "3" && str != "4" && str != "5" 
    && str != "6" && str != "7" && str != "8" && str != "9" && str != "0") { 
        alert("숫자만 입력 가능 합니다."); 
        obj.value = rtn; 
    } 

JavaScript : 여러 가지 브라우저 종류 판별하기

var isBrowser;

// 브라우저 종류 판별
if (parseInt(navigator.appVersion) >= 4) {
    if (typeof ScriptEngine == "function") {
        isBrowser = "Explorer";
    } else if (navigator.userAgent.indexOf("Firefox") != -1) {
        isBrowser = "Firefox";
    } else if (navigator.userAgent.indexOf("Konqueror") != -1) {
        isBrowser = "Konqueror";
    } else if (navigator.userAgent.indexOf("Netscape") != -1) {
        isBrowser = "Netscape";
    } else if (window.opera) {
        isBrowser = "opera";
    }
}